한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산출한 시장 가치의 재화의 합을 GDP라고 합니다.
여기서 잘보셔야 하는 단어는 한나라입니다.
예를들어 지금의 현대처럼 미국에 가서 공장을 설립해서 자동차를 만들어 낸다면
한국 기업이니 한국의 GDP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그건 미국의 GDP가 되는겁니다.
그럼 반대로 외국기업이 한국에 와서 공장을 설립해서 제품을 생산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건 한국의 GDP가 되는겁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어렵죠? 그럼 이젠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왜 이런 어려운 GDP가 세상에 나와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때는 19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이때 무슨일이 있었냐고요?
1919년 6월 28일에 프랑스의 베르사유 왕궁에서 베르사이유(Versailles Treaty)의 계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게 뭐냐구요?
이건 제1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에게 배상하라고 요구한 겁니다. 이때 영국 대표로 존 메이너드 케인스라는 분이 오셨고
이분이 쓴 책 <평화의 경제적 귀결(Economic Consequences of Peace)>에서 그는 이러한 과도한 배상금 때문에 생기게 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후 이는 지난번 말씀드린 독일에서 1920년대에서 1930년 초까지 초 인플레이션이 겪게 됩니다.
그리고 이사건이 전 세계의 공황을 더 부추기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전 세계의 공황은 1929년에 미국을 시작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대 공황의 원인으로는 그 당시 미국이 경기가 굉장히 호황을 이루고 있었지만
과잉 공급으로 인한 수요부족문제때문에 발발했습니다. 이때 주식시장도 대폭락을 맞게 됩니다.
GDP의 개념과 측정 방법은 루즈벨트 대통령 취임기간에 미국 정부로부터 경제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지표를
개발하라는 의뢰를 사이먼 쿠즈너(Simon Kuznets)가 받게 되었습니다. 이 의뢰는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책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발령된 것입니다.
그리고 뉴딜정책을 펼치면서 자유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여러 가지 일거리 창출을 하는 것을 근간으로 했습니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자본 이익률인 ROE(Return On Equity, ROE)란 (35) | 2023.07.04 |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Project Financing)란 (2) | 2023.06.22 |
초 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이란 (6) | 2023.06.09 |
경기 침체-ISM 제조업 지수 (8) | 2023.05.30 |
수요 & 수요곡선 (2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