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용어59 엔캐리 트레이드란?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엔캐리 트레이드에 대해서 정리해볼게요 지난번 내용을 정리하면 플라자합의 이후 일본은 금리를 인하했고 이에 사람들은 빗투를 했고 결국 일본 정부는 금리인상을 단행했고 버블이 붕괴되면서 장기 불황을 진입하게 됬죠. 그이후 일본경제는 경제를 활성하기 위해서 저금리를 유지하게 됬습니다. 이때 일본 대다수는 저금리이니 돈을빌려서 고금리의 나라돈으로 환전해서 그곳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저금리에서 대출을 받지만 고금리의 이자를 챙길수 있으니 투자자 입장에서는 개이득인거죠. 그리고 더불어 엔화가치가 더 떨어진다면 그만큼 더 이득인거죠. 이게 엔화 캐리트레이드 즉 엔캐리트레이드를 말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저금리를 유지하다가 최근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일본은 금리를 인상했죠.. 2024. 8. 21. 레이건의 조세감면정책과 플라자합의 안녕하세요 오늘은 플라자 합의에 한걸음 더 딛기 위해서 그시대에 왜 레이건은 조세 감면 정책을 펼쳐으며 왜 그럴수 밖에 없었는지와 핵심적인 내용으로 플라자합의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자 그럼 과거로 한번 가볼까요? 1970년대에 베트남 전쟁의 패배로 미국의 닉슨대통령은 달러를 갖고 오면 금으로 바꿔주는 금본위제을 정지시키게 되고 더불어 석유파동까지 터지자 전 세계는 경제가 휘청이기 시작합니다. 이때 미국은 금본위제를 없애면서 많은 양의 달러를 찍어냅니다. 결국이는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키면서 경기침체를 맞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촉발합니다. 이때 레이건이 공약으로 세제를 감면 하고 정부의 규제를 완화하고 현재 공공시설을 민영화하는 방향으로 취하게 해서 세금이 감면된만큼 사람들이 투자나 소비를 증가시키게 될.. 2024. 8. 14. 원화가치가 하락했을때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 유명한 플라자 합의를 설명하기 위한 첫번째로 원화가치가 하락했을때 무역 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언뜻 생각하면 뭐! 원화가치의 하락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길래? 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칩니다.그럼 하나 하나 알아가 볼까요?첫째 원화기치가 하락하면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외국 통화로 환산될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지기 때문에외국인들은 소비하는 입장에서 한국제품에 구매에 대한 눈을 조금더 돌릴 확률이 올라갑니다.(가격 경쟁력에서 우위에 있게 되는거죠)두번째 한국제품이 외국에서 저렴해지기때문에 외국의 수입업체나 소비하는 사람들은 한국제품을 더 많이 구매할려고 할것입니다. 이렇게 되서 한국의 수출이 증가 하게 되는것이죠세번째 수출이 증가로 고용이늘어.. 2024. 8. 12. 가산금리란? 오늘은 가산금리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가산금리는 대출이나 예금과 같은 금융 상품에 부과되는 이자율의 추가 요소를 가리킵니다.일반적으로 가산금리는 대출이나 예금의 특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때 적용됩니다.이 가산금리는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대출의 경우, 대출 신청자의 신용 점수, 대출 상환 능력, 담보물의 가치 등이 고려됩니다.이러한 요소들이 낮거나 부족할 경우 은행은 대출에 높은 위험을 노출하게 되므로 더 높은 이자율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예금의 경우에도 가산금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예금주가 은행과의 장기 계약을 체결하지 않거나, 최소 예치 금액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은행은 추가 이자를 지급하지 않거나 낮은 이자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일예로 정기적금을 들었다가 중도 해지.. 2024. 6. 24. 가변예치의무제도(VRRS : Variable Reserve Requirement System)란? 오늘은 가변예치의무제도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그럼 일단 이게 무엇인지 간단히 정리하고 시작할게요. 간단히 가변예치의무제도를 설명하자면 은행에서 예금을 받을 때 예금액의 일정 비율을 예치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데, 해당 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예금액에 따라 변동하는 제도를 일컫을수 있을 것 같습니다.그럼 이게 왜 중요할까요?근래에는 해당 가변예치의무제도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는걸 종종 볼수 있는데요. 왜냐하면 해당 제도가 은행의 안정성과 경제 활동의 원활한 진행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그럼 예를 들어볼까요?일례로 경기가 침체할 때는 대출이 줄어들어 은행의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가변예치의무제도를 적용한다면 예금액.. 2024. 6. 12. 가동률 이란? 오늘은 가동율에 대해서 몇가지 정리해 볼려고 합니다.한국은행에서는 가동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생산실적/생산능력×100)로,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이다. 여기서 생산능력이란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을 의미한 다.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다만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데, 이는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되지만 경기가 활황세인 .. 2024. 5. 20.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