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

효용과 한계효용 그리고 한계효용의 체감의 법칙

by 쁘락지 2024. 1. 16.
반응형

효용이란 주관적으로 상품을 구매 소비함에 있어서 만족도(선호도)라고 일컬어진다.
그럼 한계효용은 무엇일까?
예제를 들어보자 전 이상하게 한달내내 1년내내 음식 하나에 꽂히면 그것만 먹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렇치 않을겁니다. 막상 한가지만 1개월동안 먹으라고 하면
얼마 못가 질려버릴것입니다. 어떤 방송을 보니 6개월 동안 밖에 나가지 않고 남녀가 생활하게 되면
5만달러인가를 준다는 아이템을 가지고 생활하는것도 봤던것 같습니다. 그때의 식단 또한
굉장히 단조로웠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쉐프를 부를수 있지만 부르면 1만 달러를 차감한다는
소식에 둘다 눈치를 보다가 못 부르더군요.
이렇게 10일동안 피자만 먹다가 그사람에 피자가 아닌 스파게티를 준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족도는 상승할겁니다. 하지만 피자를 열흘동안
먹는다면 지속적으로 먹는것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할겁니다.
이렇게 처음 피자를 먹었을때와 두번째 먹었을때의 만족도의 차이를 한계효용이라고
하면 이렇게 지속적으로 먹는것에 대한 만족도가 감소하는것을
경제학에서는 한계효용의 체감의 법칙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2024년이고 겨울이고 굉장히 추운날입니다. 건강관리 잘하시고
무탈한 겨울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 사채(Convertible Bond)란?  (3) 2024.01.28
단리(單利)와 복리(複利)란?  (1) 2024.01.22
주식 매수 선택권(Stock option)이란?  (2) 2024.01.03
선물(先物:futures)이란?  (2) 2023.10.19
현물과 파생상품 이란?  (11)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