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뱅크런2

금리인상 계속 진행될까요? 오늘은 오랜만에 앞으로의 어떻게 진행될지를 고민해 보겠습니다. 시장에서는 Fed가 금리인상을 끝냈다고 점치고 있고 최근에는 앞으로 주식시장은 굉장히 좋아질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점치고 있지만 어제 미국시장은 그리 밝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중요한 지표는 아니지만 도매재고량의 감소 여파인지 지수는 조금 흘러 내렸습니다. 그리고 금주에 유심히 지켜봐야 할게 있는데 그건 금요일의 발표되는 은행들의 실적이 아닐까 합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뱅크런이 또 발생하지는 않을지 여부와 Fed의 금리정책이 정해질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제 생각엔 은행의 실적이 안좋다면 뱅크런이 발생할수 있는 상태를 만들수도 있으며 또 한번 은행의 위기가 닥쳐 올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뱅크런 발생시 Fed는 여러가지 지수가 인플레이션이 안잡혔.. 2023. 4. 11.
금리&채권 관계와 나스닥의 동향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서 썰을 풀어볼까 합니다. A씨는 어느날 한국의 1년짜리 채권(5%이자)을 1000원에 구매를 했습니다. 그리고 A씨는 만기까지 기다려 1050원을 받을려고 합니다. B씨도 똑같은 채권을 구매했습니다. 하지만 B씨는 이채권을 만기까지 가져가고 싶지 않아서 팔려고 했습니다. 그와중에 시장의 시중금리는 7%로 올라갔습니다. 그럼 B씨가 팔려고 한 채권은 가격이 어떻게 될까요? 떨어집니다. 그이유는 7%이자를 주는 채권 상품이 나와서 다른 채권을 사면 이보다 더 큰수익을 얻을수 있기 때문에 B씨가 산 채권처럼 5%이자를 준다는 채권의 가격은 하락할수 밖에 없습니다. 이래서 언론에서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고 하는겁니.. 2023.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