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금2

단리(單利)와 복리(複利)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리와 복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각각 해당용어는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알아 보고 갈까요? 단리란 원금에만 이자가 부과되는 방식입니다. 반면 복리는 원금에도 이자가 부과되지만 그 이자에도 이자가 누적 되는 것입니다. 자 그럼 뭐가 틀린건지 감이 안오시죠? 그럼 간단한 예를 한번 풀어볼까요? 2년동안 100만원을 5%의 단리로 예금했다면 1년후에 이자는 100만원 * 5% = 100만원 + (100만원 * (2(몇년)*0.05(이자율))) = 100만원 + 10만원 = 110만원이 되는 겁니다. 반면에 복리로 하면 어떻게 될까요? 100만원 * (1+0.05(이자)) = 100만원 * ((1+0.05) (1+0.05)(이자의 이자)) = 1,102,500원이 됩니다. 만약.. 2024. 1. 22.
CDS/Credit Default Swap/신용 부도 스왑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신문기사에 많이 등장하는 CDS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CDS를 설명해 드릴려고 하니 한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해 보겠습니다. 직장에 다니고 있는 A씨는 브라질에 채권을 구매하기 위해서 브라질로 이동했습니다. 하지만 아시겠지만 브라질은 나라자체에 신용도가 그리 좋치 않습니다. 이때 A씨는 망설입니다. 내가 채권을 사서 돈을 제대로 못받으면 어쩌지? 원금 보장도 안되면 어쩌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이때 영국의 은행 C가 망설이는 A씨를 설득해서 보증을 서주게 됩니다. 만약 브라질 채권을 구매후 상황이 안좋아 지면 내가 대신 너에게 원금을 돌려줄게라구요. 이렇게 해서 A씨는 C은행에게 월마다 일정 부분 돈을 지불합니다. 마치 우리가 알고 있는 보험처럼요 이때 보험료를 CDS 프.. 2023.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