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미국 실업 수당 청구 건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대체 미국 실업 수당 청구 건수는 뭘까요?
요약하자면 매주 목요일마다 미국 동부 표준시 08시30분에 발표되는 지표로 한주간 실업 수당을 얼마나 신규로 신청하였는지를 보여주는 통계인 신규 실업 수당 청구 건수와 연속해서 실업 수당을 얼마나 신청했는지를 나타내는 통계 데이타인 연속 실업 수당 청구건수로 발표됩니다.
먼저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왜 필요한 지표일까요?
그럼 실업률을 매월, 매분기, 매년 발표하면 될건데 왜 굳이 실업수당 청구건수를 매주 마다 발표할까요?
그건 실업 수당 청구건수로 얼마나(How) 실업 수당을 청구했는지를 파악해서 향후 "실업률"의 변화를 미리보는 선행 지표로 활용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실업률은 언제 발표하나요? 실업률은 미국 노동부 산하의 노동 통계국(BLS)에서 매월 조사해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럼 실업률은 어떻게 발표하고 있을까요?
몇억명의 미국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하는게 아닌 10만 명 내외의 샘플을 두고 조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적극적인 실업자와 일을 하고 있는 노동자를 샘플링해서 발표하고 실업상태도 아니고 노동상태도 아닌 사람인 전업주부나 기타 환자등은 샘플링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럼 실업률이 나왔으니 실업률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률이 감소하면 기업의 고용이 확대된것이므로 개인의 수입이 증가하게되고 그에 따라 개인의 소비가 확대 됨에 따라서 경기가 활성화 되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반대로 실업률이 증가하게 되면 기업의 고용이 축소된것이므로 개인의 수입이 감소할것이며 소비가 축소됨에 따라 경기가 침체로 가고 있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자 여기서 우리가 지금현재의 미국 경기상황에 초점을 맞추어서 봤을때는 어떨까요?
실업률이 감소하면 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공급이 늘어나게 되는데 지속적인 수요에 증가로 인해 공급이 부족하게되면 물가의 상승을 초래할수 있겠죠?
따라서 실업률의 감소는 경기가 활성화 되고 있어서 좋다고 볼수도 있겠지만 이는 반대로 소비가 확대됨에 따라 물가 상승을 더 가속화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와 같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때문에 긴장하고 있는 상황에 실업률의 감소는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이슈로 받아들여질수 있는 겁니다.
그럼 해당 내용은 여기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편안한 목요일 밤 보내시기 바랍니다.
언제나 저도 자료를 학습해서 올리는 자료이니 만큼 잘못된 부분은 댓글 달아주시면 반성&수정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물과 파생상품 이란? (11) | 2023.10.18 |
---|---|
카르텔(Cartel / Kartel) (4) | 2023.10.17 |
환매 조건부 채권 (RP : Repurchase Agreements) (3) | 2023.10.11 |
미국의 셧 다운(Shut down) (4) | 2023.09.27 |
헤드 앤 숄더 패턴(Head & Shoulder Pattern) 이란? (1)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