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에 내용을 참고 하면 영어로는 "Cartel/Kartel"이라고 하며 독일어(Kartell)이라고 한다고 하며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17세기 문헌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카르텔의 의미를 위키에서 좀더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서로 적대하는 국가들 사이에 체결된 서면 조약'이었다. 이것이 벨기에로 건너오며 '서로 다른 정당들이 공동 목표를 위해 구성한 연합체'를 가리키게 되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법률 용어인 '카르텔'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여기까지가 위키의 내용이며 해당 내용으로는 조금 설명이 부족한것 같아서 오늘은 예전에 추억의 드라마 "상도"를 예를들어서 설명해 볼까 합니다.
그럼 잠시 타이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조선시대에 거상은 개성을 중심으로 하는 송상과 의주를 중심으로 하는 만상이 있었는데요.
하루는 사행무역으로 사신과 함께 청나라로 인삼을 판매해서 큰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넘어갔는데요.
그곳에서 청나라 상인들이 조선의 인삼을 저렴하게 사서 최대의 이익을 남길려고 단합하여 조선의 인삼을 매입안할려는
불매운동을 했다고 합니다.(카르텔) 이때 조선의 상단에서는 큰이익을 남기게 될거라고 기대한것과는 다르게 불매운동을 하자
사행무역 특성상 사신단이 돌아갈때 같이 물건을 다시 갖고 돌아가야 해서 다급한 마음에 싸게 팔수 밖에 없었고
이때 만상은 나머지 조선상인들이 파는 물량을 다 매입하여 조선의 인삼을 태워버린다는 소문을
내고 실제로 청나라 상인들 앞에서 불을 지피면서 제값을 받고 팔았던때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몇가지 예를 더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항공사 합병을 반대에 대한 부분도 두개의 회사가 한개의 회사로 합병하게 되면 항공료의 인상이 불가피하게 되서 독점하게 된다는
반독점법에 따른 것이라고 할수 있죠
미국의 예를들면 최근에야 끝난 MS사가 블리자드를 인수하는부분에서도 반독점법 때문에 많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 설명은 여기까지 입니다.
언제나 늘 그렇듯이 잘못된 부분을 제가 언급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先物:futures)이란? (2) | 2023.10.19 |
---|---|
현물과 파생상품 이란? (11) | 2023.10.18 |
미국 실업 수당 청구 건수(Weekly Jobless Claims)란? (5) | 2023.10.12 |
환매 조건부 채권 (RP : Repurchase Agreements) (3) | 2023.10.11 |
미국의 셧 다운(Shut down) (4) | 2023.09.27 |